Surprise Me!

[왓슈] 위기의 지방 소멸 시대, 그 해법은? / YTN

2024-02-17 61 Dailymotion

YTN에서는 소멸해 가는 지방 상황을 살펴보는 연속 기획 보도를 준비했습니다. <br /> <br />마지막 순서로 지방 소멸을 막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전문가들의 이야기를 들어봤는데요, <br /> <br />전문가들의 말하는 지방 소멸의 해법을 정태우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라져가는 사람들 비어가는 마을 지방 소멸 위기 <br /> <br />‘전 세계에 이런 나라가 없어요.' ‘극단적인 상황을 경험하게 될 것.' ‘정말 위험한 상태에 있는 나라다.' <br /> <br />어떻게 지방을 살리고 균형발전을 이룰 것인가. <br /> <br />지방 소멸 시대 해법을 묻다 <br /> <br />1960년대부터 최근까지 인구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반 지도를 재구성한 '카토그램' 지도입니다. <br /> <br />인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해당 지역이 점점 커지는 건데요. <br /> <br />시간이 흐를수록 수도권의 인구 분포가 기형적으로 많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방 소멸의 원인 가운데 하나인 수도권 집중화 문제.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? <br /> <br />[정석 /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교수 : 인구 감소보다 쏠림이 더 큰 문제예요. 이 문제를 풀려면 수도권으로 사람들이 자꾸 몰리지 않게 해야 하는데, 수도권 지역에 대한 계속되는 투자. 신도시 건설, 교통 기반 시설들. 이런 것들을 계속하면서 지역 균형발전을 하겠다는 게 어불성설이었다.] <br /> <br />[채지민 / 성신여대 지리학과 교수 : 중앙 정부 주도의 획일적인 정책은 지방의 생활 여건이나 발전 역량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 설계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중앙의 예산이나 운영 인력 등이 지방에 이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지방민의 41.1%는 미래에 지방을 떠나 수도권으로의 이주를 희망한다고 응답했는데요, <br /> <br />가장 큰 이유는 ‘열악한 일자리 여건' 때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유선종 /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 : 현재 젊은이들이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가 없기 때문에 떠나는 겁니다. 양질의 일자리를 해당 지자체에서 젊은이들 눈높이에 맞게 공급한다면 절대 떠나지 않습니다.] <br /> <br />[마강래 / 중앙대 도시계획부동산학과 교수 :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는 중소기업과 결합하는 모델, 중앙 정부의 강력한 지원. 대도시권처럼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야 기본적으로 기업도 유치할 수 있고 인구 유출도 방지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.] <br /> <br />메가시티처럼 개별 도시들을 물리적으로 결합하고 도시 규모에 따라 위계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아닌, 도시 간의 연계 협력을 중시... (중략)<br /><br />YTN 정태우 (jeongtw051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21806354767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